";
 
기사제목 대한골대사학회, 국회 복지위에 정책제안서 전달 ‘눈길’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대한골대사학회, 국회 복지위에 정책제안서 전달 ‘눈길’

정호연 이사장 “고령사회 골다공증 정책우선순위 필요”…김세연 위원장 “국회차원 관심 약속”
기사입력 2019.10.15 15:25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대한골대사학회, 세계골다공증의 날 맞아  국회 방문 정책제안 전달.jpg▲ 15일 정호연(오른쪽)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이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에게 대한골대사학회 정책제안서를 전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아이팜뉴스] 골절·골다공증 관련 국내 최대 연구단체인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정호연)가 15일 ‘세계 골다공증의 날’(10월 20일)을 앞두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정책제안서를 전달해 눈길을 끌게 했다.

이날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과 임원진은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실로 찾아가 ‘골다공증·골절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자료집을 전달하며 국회 차원의 관심을 당부했다.

정호연 이사장은 “뼈가 부실해지면 신체활동을 필요로 하는 노동활동 참여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전반적 운동능력 저하, 활동량 부족, 자신감 상실 등으로 이어져 건강악순환이 시작된다”고 강조하면서 “골다공증과 같은 근골격계 만성질환에 대한 조기 치료 및 지속관리를 위해 ‘약물급여기준 제한’, ‘한국형 재골절예방프로그램 도입’ 등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골다공증 등 노인질환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리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어르신들이 건강하게 활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국회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살피겠다”고 화답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29일 세계골다공증재단(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 대표자인 필립 하버트 박사(Dr. Philippe Halbout)의 방한 때도 학회 관계자들과 함께 면담하며 골다공증 관리의 최신 해외 트렌드를 청취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보인 바 있다. 이번 학회 임원진과의 면담도 이러한 정책대안 모색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 제공=대한골대사학회, 2018 Factsheet.jpg▲ (자료 제공=대한골대사학회, 2018 Factsheet)
 
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8월 기준으로 인구 14%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계 및 전문가단체를 중심으로 당뇨·고혈압 위주의 기존 만성질환정책에서 탈피해 ‘노년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질환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져왔다. 학회도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골다공증 정책의 현주소를 면밀히 짚어보고 있다.

■ 골다공증·골절이 ‘노년의 敵’ 등장…인지율·치료율 제고 시급

골다공증은 노년기 삶의 질을 급격히 악화시키는 ‘노년의 적(敵)’으로 불린다. 선진국일수록 고령화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이에 따라 골다공증·골절이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다뤄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지율과 치료율이 모두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골다공증의 위험성을 알리고 검진을 활성화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년)에 따르면 70세 이상 노인 중에서 여성 환자의 27.7%, 남성 환자의 6.6%만이 자신이 골다공증임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치료를 받은 골다공증 환자는 여성이 12.9%, 남성이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관절 골절 발생 시 남성 21%, 여성 14% 1년 이내 사망…치명률 높아

흔히 골다공증을 만성질환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골다공증은 필연적으로 골절을 유발해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대퇴골, 고관절, 척추 등 주요 부위가 골절되면 일상생활 능력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사망위험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나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특히 고관절 골절이 발생할 경우 1년 내 치명률은 남성 21%, 여성 14% 수준으로 전체 6명 중 1명이 1년 이내에 사망하는 결과(대한골대사학회, 2018 Factsheet)에 이른다.

자료 제공=대한골대사학회3.jpg▲ (자료 제공=대한골대사학회)
 
■ 골다공증 환자 중 약 66%가 약물치료 시작 후 1년 안에 중단

현재 골다공증 관리에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치료중단율이 높다는 점이다. 임상현장에서는 골다공증 급여기준 상 약물의 투여기간을 제한하는 조항이 있어 효과적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한다. 현행 건강보험 급여 기준상 약제 치료 도중 골밀도가 –2.5 이상으로 개선되면 골다공증 약물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지원이 중단된다.

실제로 학회의 2014년 조사에서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후 1년 안에 100명 중 66명이 치료를 중단하고, 골절 발생 후에도 10명 중 4명만 약물치료를 받는 것(대한골대사학회, Fact sheet 2014)으로 조사됐다.

영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등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골다공증 약물에 대한 급여기준에 투여기간 제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만성간질환, 신장질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한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약물 투여기간 제한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그래프.jpg▲ (자료 제공=대한골대사학회)
 
■ 임상전문의 89.1%, ‘정부의 골다공증 심각성 인식 및 정책지원 불충분’

최근 대한골대사학회가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회 회원 대부분이 정부의 정책지원, 인식 등이 미흡하다고 답변했다. 정책지원이 미흡하다고 답한 이유로 ▲골다공증 약물 급여기준 제한 ▲고혈압·당뇨에 비해 지원정책 부족 ▲홍보 부족 순으로 언급했다. 이 조사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임상전문의 11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 임상전문의 89.1%, ‘정부의 골다공증 심각성 인식 및 정책지원 불충분’

최근 대한골대사학회가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회 회원 대부분이 정부의 정책지원, 인식 등이 미흡하다고 답변했다. 정책지원이 미흡하다고 답한 이유로 ▲골다공증 약물 급여기준 제한 ▲고혈압·당뇨에 비해 지원정책 부족 ▲홍보 부족 순으로 언급했다. 이 조사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임상전문의 11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