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박스터, ‘2019 마취의학 전문가 포럼’ 개최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박스터, ‘2019 마취의학 전문가 포럼’ 개최

‘세계마취의 날’ 기념해 전국 100여명 마취 전문가들의 학술 교류의 장 열려
기사입력 2019.10.16 20:39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마취의학전문가포럼 전경.jpg
 
[아이팜뉴스] 박스터(대표 현동욱)는 지난 12~13일 이틀간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국내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 마취의학 전문가 포럼(Anesthesia Expert Forum)’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취의학 전문가 포럼은 박스터가 국내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전신마취에 관한 학술 교류의 장으로, 전신마취의 기초 원리에서부터 마취 환자의 수술 후 조기 회복을 위한 프로토콜 등의 최신 마취 치료 지견의 논의가 이루어지며, 올해 6회째로 개최됐다.

올해 포럼에서는 부산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해규 교수와 분당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도상환 교수가 좌장을 맡아 ▲간 이식에서의 흡입마취와 혈역학적 감시(서울대병원 김원호 교수) ▲레미펜타닐 관련 합병증 고려 시 데스플루레인 흡입마취의 장점(부산대병원 백지석 교수) ▲전신마취 환자들의 횡경막 기능의 초음파 평가(서울아산병원 최우종 교수) ▲병원에서 수술 후 조기 회복을 위한 프로토콜(ERAS protocol)을 설립하는 방법(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홍상현 교수)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강연에서 서울대병원 김원호 교수는 74명의 생체장기제공자(Living Donors)를 대상으로 간 절제술 시 사용한 흡입마취제 데스플루레인(desflurane)과 세보플루레인(sevoflurane)의 종류에 따른 수술 후 간과 신장 기능의 차이와 관련된 연구 데이터를 공유했다. 김 교수는 동일 용량 사용 시 세보플루레인 사용 그룹과 데스플루레인 그룹을 비교했을 때 수술 후 3일에 세보플루레인 사용 그룹에서 간기능 수치는 상승하고, 알부민 수치는 감소하며, 크레아티닌 수치에 있어 두 그룹을 비교했을 때 세보플루레인 사용 그룹에서 수술 후 3일, 30일 후 크레아티닌(Creatinine) 수치는 상승하고, 사구체 여과율은 낮게 측정됐다고 발표했다. 김 교수는 두 그룹 대상자의 수술 후 간과 신장 기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동일 용량 사용 시) 데스플루레인이 혈액 검사에서 더 나은 결과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홍상현 교수는 “‘수술 후 조기 회복을 위한 프로토콜(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protocol)’은 입원 기간을 30~50% 단축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합병증을 50% 감소시킨다”며 “수술 후 마취에서의 빠른 회복의 중요성과 수술 형태에 맞게 프로토콜을 병원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마취의학에 대한 학문적 논의 이외에 ‘세계 마취의 날’(10월 16일)을 기념하는 세션도 진행됐다 세계 마취의 날은 1846년 의학사상 최초의 에테르 마취 성공을 기념하는 날로, 마취의 성공으로 전 세계 환자들이 수술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게 돼어 의학사상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날이다. 포럼 참석 마취의학 전문의들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마취의 의의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마취의학 전문가로서의 사명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박스터는 흡입마취제 시장에 있어 4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기업으로, 대표적인 흡입마취제인 슈프레인(성분명 desflurane)과 세보플루레인(sevoflurane)을 모두 제조·판매하고 있다. 슈프레인은 현재 한국에서 전신마취 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입마취제로, 과압을 가하지 않고도 마취 심도 및 마취 유지 농도에 신속히 도달하며, 대사율은 Isoflurane의 1/10, Sevoflurane의 1/250로 간장, 신장 및 기타 기관에 대한 독성의 위험이 적다. 판매는 제일약품에서 담당한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