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친밀감의 표시 악수, 세게 잡으려다 악수(惡手) 부른다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친밀감의 표시 악수, 세게 잡으려다 악수(惡手) 부른다

자생한방병원 홍순성 원장 “악수도 지나치게 많이 하면 손목터널증후군 유발할 수도”
기사입력 2017.05.10 11:02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악수와 같은 반복적인 손목 사용은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jpg▲ 악수도 지나치게 많이 하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아이팜뉴스] ‘장미대선’으로 치러진 제19대 대통령선거가 끝났다. 그 어느 대선보다 유력후보들이 많이 등장하며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한 유세전도 치열했다. 각 대선 주자는 물론 캠프들도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유권자와 직접 만나 지지를 호소했다.

이때 정치인의 악수(握手)는 유권자와 소통에 있어 가장 친밀한 도구로 작용한다. 특히 대선 유력후보 대부분은 유권자의 손을 잡는데 있어 더욱 힘을 준다. 손을 통해 느껴지는 체온과 악력으로 유권자에게 호감을 높일 수 있고, 자신의 의지를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학력일수록 악수를 할 때 손을 더욱 세게 잡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가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교육 수준이 높은 69세의 사람들은 저학력의 65세의 사람들과 비슷한 강도로 상대방의 손을 잡는다. 고학력일수록 자신을 젊게 느껴 상대방의 손을 더욱 강하게 잡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올바른 악수 에티켓으로는 상대방의 손을 적당한 악력으로 잡은 상태에서 위 아래로 5회 정도 흔들고, 상대방의 눈을 응시해야 한다. 이에 하루 수백명과 손을 마주잡아야 하는 대선 주자들의 손은 심하게 붓기 일쑤다. 하지만 악수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손목 사용은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에게 있어서 ‘독’이다.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 앞쪽 피부 밑에 뼈와 인대에 의해 형성된 통로인 손목터널(수근관)이 여러 자극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압력이 증가되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때 정중신경을 압박해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감을 느끼게 된다.

자생한방병원 홍순성 원장은 “손가락 감각, 움직임 등 손의 운동기능을 담당하는 말초신경 중 하나인 정중신경이 좁아진 수근관으로 인해 압박을 받게 되면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데, 악수와 같은 형태로 손과 손목에 강한 힘을 반복적으로 주게 되면 통증은 물론 심할 경우 마비를 유발한다”고 말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반복적인 일을 하는 주부나 사무직에게 많이 나타난다. 특히 칼질이나 행주짜기와 같은 가사노동이나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사용은 손목에 지나친 부담을 줘 수근관을 좁게 만든다. 또한 손목터널증후군은 종양이나 임신, 비만, 당뇨, 갑상선 기능 장애가 있을 경우 더 잘 발생하고 증상 또한 악화될 수 있다.

손을 꽉 쥐려고 하면 때때로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물건을 세게 잡지 못해 떨어뜨리곤 하다 손의 감각이 느껴지지 않으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바느질처럼 정교한 동작을 하기가 어려워질 때도 손목터널증후군일 경우가 크다. 따라서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손과 손목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땐 1시간마다 10~15분 쉬면서 손목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미세한 통증을 느낀다면 잠들기 전 온찜질이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에 도움이 된다.
홍순성 원장은 “증상이 나타나면 생활 속에서도 무리하게 손목을 사용하는 일이나 운동을 피해야 한다”며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은 간단한 약물치료로도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손의 감각 이상이나 통증이 더욱 심해지기 전에 병원을 내원해 진찰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